티스토리 뷰
1.사육신과 생육신이란?
사육신(死六臣)은 조선 세조 2년(1456)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김문기(金文起) 등 여섯 명의 신하를 가리킵니다.
이들의 시신은 노량진 근처에 매장되어 있으며, 조선 중기 이후 충절(忠節)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졌습니다.
생육신(生六臣)은 단종이 그 숙부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세조에게 한평생 벼슬하지 않고 단종을 위하여 절의를 지킨 신하들을 지칭한 것으로, 1456년(세조 2년)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사육신(死六臣)에 대칭하여 생육신이라 하였습니다.
생육신은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남효온(南孝溫)을 말합니다.
2. 성삼문의 일대기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은 조선 세종대왕의 4남으로 출생한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자청(子淸), 호는 자준(子濬), 시호는 충무(忠懋, 忠武)입니다.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던 사육신(死六臣)의 대표적인 인물로,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삼문은 1451년(문종 1)에 장령(掌令)을 지냈으나, 1456년(세조 2)에 성삼문, 박팽년 등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던 사육신이 처형을 당하자 관직을 버리고 세상일에 관심을 끊고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1475년(성종 6)에 김해군수에 제수되었으나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성삼문은 조선시대 충절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생애와 활동내역은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3. 신숙주의 일대기
신숙주(申叔舟, 1417-1475)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외교관으로 본관은 고령, 자는 범옹(泛翁), 호는 희현당(希賢堂)·보한재(保閑齋)입니다.
1438년(세종 20) 사마양시에 합격하여 동시에 생원·진사가 되었고, 1447년(세종 29) 중시에 장원급제하여 집현전 부수찬이 되었습니다.
세종의 총애를 받아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하였고, 계유정난의 공신으로 한명회와 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집현전 학사들이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고 단종의 복위운동을 했던 것(사육신이나 생육신 등)과는 노선을 달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저서로는 보한재집(保閑齋集)이 있습니다.
4. 성삼문과 신숙주의 우정과 라이벌 관계
성삼문과 신숙주 사이는 세종대왕이 원손(단종)을 안고 두 사람에게 "이 아이를 잘 돌보아 달라."라는 부탁을 받은 동지의 관계였지만, 계유정난 이후 두 사람의 운명은 갈리게 되었습니다.
성삼문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실패하여 지독한 고문 끝에 능지처참을 당하는 것은 물론 가문도 멸문지화를 겪게 되었고, 반면 신숙주는 수양대군 편에 서서 단종의 복위 운동에서 운명을 함께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립하였습니다.
성삼문은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던 사육신(死六臣)의 대표적인 인물로,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외교관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아 훈민정음 창제에 기여하였고, 계유정난의 공신으로 한명회와 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단종 복위 운동을 계기로 대립하게 되었으며, 이후 성삼문은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관직을 버리고 세상일에 관심을 끊고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반면 신숙주는 계속해서 관직을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두 사람의 말년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성삼문은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숙주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많은 업적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사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채호와 백남윤 : 일제시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두 학자 (0) | 2023.10.06 |
---|---|
최영과 이성계 - 고려말 역사 속 두 라이벌의 관계 (0) | 2023.10.03 |
우리 역사 속에 중요한 가야국 정리 (0) | 2023.09.26 |
조선 후기의 최고의 화가 - 김홍도와 신윤복 (0) | 2023.08.31 |
드라마 도깨비의 [김신]의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 : 김신, 윤관, 척준경, 경대승 (0) | 2023.08.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근대화 개혁
- 정우성
- 한국광복군
- 서바이벌 예능
- 일제강점기
- 데스매치
- 티스토리챌린지
- 문화통치 전환
- 강화도 전투
- 대한민국 임시정부
-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
- 친러 정책
- 맞선 예능
- 드라마리뷰
- 흥선대원군 쇄국정책
- 김구 지도
- 일본 제국주의
- 혼외자
- 조선 개항
- 청나라 군대 개입
- 부산 원산 인천 개항
- 미스터트롯3
- 오블완
- 조선 독립운동
- 현역가왕2
- 트로트
- 본선 1차전
- 본선 경연
- 황민화 정책
- 농민 생활 악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