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말기, 나라 안팎으로 혼란이 극심한 시기에 중국에서 발생한 홍건적(紅巾賊)이 고려를 침략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홍건적은 원나라의 지배에 반발하여 일어난 농민 반란 세력으로, 세력을 넓히던 중 고려까지 침입하게 되었다.홍건적의 침입은 1359년(공민왕 8년)과 1361년(공민왕 10년) 두 차례에 걸쳐 발생 했으며, 특히 두 번째 침입에서는 고려의 수도 개경이 함락 되고 공민왕이 피난길에 오르는 사태 까지 벌어졌다. 고려 조정은 내부적으로 분열되었으며, 홍건적이 개경을 점령하면서 고려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결국 고려의 군대와 지방 세력의 저항으로 홍건적은 물러났고, 고려는 가까스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번 글에서는 홍건적의 고려 침입 배경, 개경 함락과 왕실의 피난, 홍건적을 격퇴..

1010년(현종 1년), 고려는 거란(요나라)의 2차 침입을 맞아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거란의 대군이 개경을 함락하자, 고려의 왕 **현종(顯宗)**은 수도를 지키는 대신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게 된다. 이 사건은 고려 왕실이 직접 전란을 피해 이동한 중요한 사례로, 단순한 왕의 도피가 아니라 국가의 존립과 왕권의 운명을 결정짓는 사건이었다. 현종의 나주 피난은 당시 고려의 정치적 혼란과 군사적 열세를 보여주는 동시에, 거란의 침입에 대한 고려 조정의 대응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다. 하지만 이 피난이 단순한 후퇴로 끝난 것은 아니었다. 피난 과정에서 고려 조정은 내부 결속을 다지고, 이후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현종의 즉위와 정치적 상황, 거란의 침입..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성계
- 현역가왕2
- 민주화 운동
- 흥선대원군
- 조선 후기
- 사림파
- 삼전도의굴욕
- 민주주의
- 트로트
- 성리학
- 정유재란
- 세종대왕
- 병자호란
- 조선 건국
- 조광조
- 속오군
- 조선수군
- 조선군사
- 병인양요
- 한국 현대사
- 조선신분제
- 훈구파
- 미스터트롯3
- 이순신
- 조선 중기
- 조선 정치사
- 연산군
- 조선 정치
- 조선 역사
- 임진왜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