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고려사스토리

홍건적의 난 – 고려를 뒤흔든 대규모 외침

전문가팀 2025. 2. 11. 00:10
반응형

고려 말기, 나라 안팎으로 혼란이 극심한 시기에 중국에서 발생한 홍건적(紅巾賊)이 고려를 침략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홍건적은 원나라의 지배에 반발하여 일어난 농민 반란 세력으로, 세력을 넓히던 중 고려까지 침입하게 되었다.

홍건적의 침입은 1359년(공민왕 8년)과 1361년(공민왕 10년) 두 차례에 걸쳐 발생 했으며, 특히 두 번째 침입에서는 고려의 수도 개경이 함락 되고 공민왕이 피난길에 오르는 사태 까지 벌어졌다. 고려 조정은 내부적으로 분열되었으며, 홍건적이 개경을 점령하면서 고려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결국 고려의 군대와 지방 세력의 저항으로 홍건적은 물러났고, 고려는 가까스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번 글에서는 홍건적의 고려 침입 배경, 개경 함락과 왕실의 피난, 홍건적을 격퇴하는 과정, 그리고 이 사건이 고려 사회에 미친 영향 을 상세히 살펴보겠다.

 


홍건적의 고려 침입 배경

홍건적의 침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중국과 고려의 정치적 상황 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4세기 중반, 중국에서는 원나라의 통치가 흔들리면서 각지에서 농민 반란이 일어났다. 이 가운데 홍건적(紅巾賊) 은 원나라에 저항하는 대표적인 반란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홍건적이 형성된 배경

  1. 원나라의 쇠퇴와 반란 발생
    • 14세기 중반, 원나라는 무리한 정복 전쟁과 가혹한 세금 정책 으로 인해 점차 약화되었다.
    • 이에 반발한 중국 내 한족(漢族) 농민들 이 전국적으로 봉기를 일으켰고, 그중 하나가 홍건적이었다.
  2. 홍건적의 세력 확장
    • 홍건적은 원래 반란군이었지만 점차 중국 내에서 독자적인 세력 을 형성했다.
    • 이들은 원나라의 군대를 격파하며 화북 지역을 점령했고, 군사력을 키워 고려까지 진출 하게 되었다.
  3. 고려와 원나라의 관계 변화
    •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을 추구하는 중이었다.
    • 하지만 원나라가 혼란에 빠지면서 고려를 지키기 위한 외부의 방어망도 무너졌고, 홍건적의 침입을 막기 어려운 상황 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359년(공민왕 8년), 홍건적이 처음으로 고려를 침략 하게 된다.


개경 함락과 고려 왕실의 피난

홍건적의 1차 침입 (1359년, 공민왕 8년)

  1. 홍건적 4만 명의 1차 침공
    • 홍건적은 1359년 요동을 넘어 고려로 진입했다.
    • 고려는 초기 방어에 성공했지만, 홍건적이 함경도와 평안도를 약탈하며 혼란을 야기했다.
  2. 고려의 반격과 격퇴
    • 이성계와 최영 등의 장군이 나서서 반격을 가했고, 결국 홍건적은 요동으로 물러났다.
    • 하지만 이는 홍건적의 세력을 완전히 제거한 것이 아니었으며, 다시 침략하는 계기가 되었다.

홍건적의 2차 침입 (1361년, 공민왕 10년)

  1. 홍건적 20만 명의 대규모 침략
    • 1361년, 홍건적은 훨씬 더 큰 규모(20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고려를 다시 공격했다.
    • 고려군이 방어했지만 홍건적의 강력한 공세를 막아내지 못했다.
  2. 개경 함락과 공민왕의 피난
    • 홍건적은 개경을 함락시키고, 수도는 약탈과 방화로 큰 피해 를 입었다.
    • 공민왕은 충청도, 경상도를 거쳐 안동으로 피난을 떠나야만 했다.
  3. 홍건적의 점령과 고려 조정의 혼란
    • 개경이 함락되면서 고려 조정은 극도의 혼란에 빠졌다.
    • 홍건적은 개경을 점령한 후 방화를 저지르며, 수도를 철저히 파괴했다.

이 시기는 고려 역사상 가장 큰 위기 중 하나 로 기록되며, 공민왕이 직접 피난을 떠나야 했던 전례 없는 사건 이었다.


홍건적 격퇴 과정

홍건적의 점령에 대한 반격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고려는 지방 세력과 중앙군을 총동원하여 홍건적을 몰아내는 데 성공 했다.

홍건적을 격퇴한 주요 전투

  1. 안동에서 고려군 재정비
    • 공민왕은 안동으로 피난하여 군을 재정비하고 반격을 준비했다.
    • 지방 세력과 장수들이 적극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2. 최영과 이성계의 활약
    • 최영과 이성계 등 고려의 뛰어난 장수들이 적극적으로 홍건적을 공격했다.
    • 홍건적을 점차 압박하며 개경 탈환 작전을 준비했다.
  3. 개경 탈환(1362년)
    • 고려군은 대대적인 반격을 감행했고, 결국 1362년 개경을 수복했다.
    • 홍건적은 퇴로를 확보하지 못한 채 대량으로 전사하거나 도망쳤다.

결국 홍건적의 고려 침입은 실패로 끝났으며, 이후 고려를 다시 공격하지 못했다.


홍건적 침입이 고려 사회에 미친 영향

홍건적의 침입은 단순한 외침이 아니라 고려 사회에 심각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변화를 가져온 사건 이었다.

홍건적 침입의 주요 영향

  1. 고려 수도 개경의 붕괴
    • 개경이 함락되면서 도시 기능이 마비되었고, 사회 혼란이 극심해졌다.
    • 수도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고려 조정도 정치적으로 불안정해졌다.
  2. 고려군의 군사 개혁
    • 홍건적의 침입을 계기로 최영과 이성계 같은 뛰어난 장수들이 주목받게 되었다.
    • 이후 고려의 군사 개혁이 추진되었으며, 조선 건국의 배경이 되었다.
  3. 왕권의 약화와 신진 사대부의 등장
    • 공민왕이 피난을 가면서 왕권이 한때 크게 흔들렸다.
    • 이를 계기로 고려 내부에서 개혁을 요구하는 신진 사대부들이 등장하였다.
  4. 민중의 피해 심화
    • 홍건적의 약탈로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졌으며, 경제적 타격이 컸다.
    • 이러한 혼란 속에서 고려의 사회 구조가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 – 홍건적의 난이 고려 역사에 남긴 의미

홍건적의 난은 고려 후기 가장 치명적인 외부 침략 중 하나 였으며, 수도 개경이 함락된 유례없는 사건이었다. 그러나 고려는 이를 극복하고 최영과 이성계 같은 새로운 군사 지도자들이 등장하는 계기 를 마련하였다. 이후 고려는 점차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신진 사대부의 성장과 조선 건국의 기반이 형성 되었다.

 

 

FAQ – 홍건적의 난에 대한 궁금증 7가지

1. 홍건적은 누구이며, 왜 고려를 침략했나요?
홍건적(紅巾賊)은 14세기 중반 원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중국 한족 농민 반란군입니다. 원나라의 통치가 흔들리는 틈을 타 세력을 확장하다가 1359년과 1361년 두 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략했습니다.

 

2. 홍건적의 1차 침입(1359년)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1359년 홍건적 4만 명이 요동을 넘어 고려로 침입했습니다. 고려군이 방어에 나섰고, 이성계와 최영 등의 활약으로 홍건적은 격퇴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다시 세력을 모아 2차 침공을 감행했습니다.

 

3. 홍건적의 2차 침입(1361년) 때 개경이 함락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홍건적은 1361년 약 20만 명의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고려를 재침략했습니다. 고려군이 방어했으나 수적 열세와 전략적 혼란으로 인해 수도 개경이 함락되었고, 공민왕은 충청도와 경상도를 거쳐 안동으로 피난해야 했습니다.

 

4. 홍건적을 격퇴하는 과정에서 어떤 장수들이 활약했나요?
홍건적의 점령 이후 고려군은 최영과 이성계를 중심으로 반격을 개시했습니다. 고려군은 안동에서 병력을 재정비한 뒤 개경을 탈환하는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홍건적을 완전히 물리쳤습니다.

 

5. 홍건적 침입으로 고려 사회는 어떤 피해를 입었나요?
홍건적이 개경을 점령하며 대규모 약탈과 방화를 저질렀기 때문에 고려의 수도 기능이 마비되었습니다. 백성들은 극심한 피해를 입었고, 국가 경제와 행정 체계가 혼란에 빠졌습니다.

 

6. 홍건적 침입 이후 고려의 군사 체제는 어떻게 변화했나요?
홍건적의 침입은 고려의 국방 체제를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최영과 이성계 같은 장수들이 부각되었으며, 이들의 활약은 이후 조선 건국 과정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7. 홍건적의 난이 고려 역사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무엇인가요?
홍건적의 침입은 고려 후기 사회의 혼란을 더욱 심화시키고, 신진 사대부 세력이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이성계와 최영 같은 인물들이 군사적 지도자로 성장하며 조선 건국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564

 

신돈 – 공민왕의 신임을 받은 개혁가, 고려 사회를 흔들다

고려 말, 나라의 혼란이 극심해지면서 새로운 개혁이 절실한 시점이 찾아왔다. 특히 권문세족의 전횡과 불법적인 토지 겸병, 국고의 약화, 농민들의 생활 악화 는 국가 존립을 위태롭게 만들었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