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고려사스토리

고려의 대외 관계 – 송·요·금과의 외교와 갈등의 역사적 흐름

전문가팀 2025. 2. 16. 00:17
반응형

고려는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외교와 군사 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며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도모했다. 송나라(중국)와는 문화 교류와 무역을 통해 선진 문물을 수용했고, 요나라(거란)와는 전쟁을 거쳐 강동 6주 확보평화 조약 체결을 이끌어냈다. 금나라(여진)와는 초기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다가 금이 요를 멸망시킨 후 외교적 긴장을 경험했다. 이러한 고려의 외교 경험조선 시대 성리학적 외교 정책의 기초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고려와 송나라의 외교 및 무역, 고려와 요나라의 갈등과 평화 조약, 고려와 금나라의 관계 변화, 조선 시대 외교 정책과의 차이점을 통해 고려의 대외 관계와 외교 전략을 살펴본다.

 


고려와 송나라의 외교 및 무역 – 문화 교류와 선진 기술 수용

1. 고려-송나라 외교 관계의 시작

고려 초 송나라는 후당, 후주를 거쳐 960년 조광윤(趙匡胤)이 북송(北宋)을 건국했다. 고려(태조 왕건)는 중국의 정통성을 송나라로 인정하며 우호적 외교 관계를 구축했다.

외교 관계 수립 배경:

  • 고려는 후백제와의 전쟁에서 송나라의 외교적 승인을 필요로 함.
  • 송나라는 요나라(거란)에 맞서 고려를 우호적 파트너로 인식.

공식 외교 수립 시기:

  • 현종(顯宗) 4년(1013년): 고려는 송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정식 외교 관계 수립.

2. 고려-송나라의 교류와 무역

  • 문화적 교류:
    • 유교 경전, 불교 경전(천태종), 의학서, 농서 수입.
    •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은 송 사신이 고려의 문화를 기록한 대표적 저서.
  • 기술적 교류:
    • 청동 활자(고려 초조대장경 제작) 기술 도입.
    • 천문학, 도자기 제조법, 농업 기술 수입.
  • 경제적 무역:
    • 개경(開京), 서경(西京) 등지에 송나라 상인이 거주.
    • 고려는 인삼, 종이, 비단, 금·은을 수출하고, 송나라로부터 비단, 도자기, 약재 수입.
  • 불교 교류:
    • 의천(義天)이 송나라 천태종 교리를 도입하여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 창설.

3. 송나라와의 외교적 협력

  • 서희의 외교 담판(993년):
    • 요나라(거란)의 1차 침입 당시, 송과 고려의 친교를 강조하며 강동 6주 획득.
  • 군사적 협력:
    • 요나라(거란)와 금나라(여진)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정보 교환.

고려와 송나라는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도 문화·경제적 교류를 통해 상호 발전했다.


고려와 요나라(거란)의 갈등과 평화 조약 – 강동 6주와 외교적 승리

1. 요나라(거란)와의 갈등 배경

  • 요나라(거란)는 916년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건국.
  • 고려는 초기 태조 왕건 시기부터 요나라를 적대적 세력으로 인식.
  • 요나라가 송나라와 고려의 교류를 견제하며 군사적 충돌 발생.

2. 거란의 3차례 침입

  • 1차 침입(993년, 성종 12년):
    • 서희의 외교 담판:
      • 고려는 송나라와의 친교를 부인하고 거란과 형제 관계 체결을 약속.
      • 대신 강동 6주(철주, 흥주, 통주, 귀주, 곽주, 수주) 확보.
  • 2차 침입(1010년, 현종 1년):
    • 거란 소손녕이 개경 함락현종은 나주로 피신.
    • 강감찬의 전략적 방어로 고려군 재정비.
  • 3차 침입(1018년, 현종 9년):
    • 귀주대첩(龜州大捷):
      • 강감찬 장군이 귀주에서 거란군 10만 명을 섬멸.
      • 고려-거란 간 국경 안정화.

3. 강화 조약 체결과 평화 시기

  • 1019년 고려-요 평화 조약 체결:
    • 국경을 강동 6주로 고정.
    • 거란과 고려는 이후 100여 년간 평화 유지.

고려와 요나라의 전쟁은 국가적 위기 속에서 외교적 성공(강동 6주 확보)과 군사적 승리(귀주대첩)를 가져왔다.


고려와 금나라의 관계 변화 – 외교적 유연성과 현실적 선택

1. 금나라(여진)의 부상

  • 11세기 후반: 동북아시아 여진족이 세력 확장.
  • 1125년: 금나라(女眞)가 요나라(거란)를 멸망.
  • 고려는 요나라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었으나, 금나라의 성장에 대비.

2. 고려-금나라 외교 관계

  • 인종(仁宗) 시기:
    • 금나라의 고려에 사신 파견고려에 사대(事大) 요구.
    • 고려는 외교적 고립을 피하기 위해 사대를 수락(1126년).
  • 이자겸의 친금 정책:
    • 이자겸은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관계 개선.
    • 금나라를 통해 고려의 독립적 외교 노선 유지 시도.

3. 외교적 긴장과 조정

  • 고려 내 친금파(이자겸)와 반금파(묘청) 갈등.
  •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년):
    • 금나라와의 외교 단절을 주장하며 서경(평양) 천도를 시도.
    • 김부식(경주 김씨)의 진압으로 실패.

4. 금나라와의 외교 안정

  • 고려는 금나라에 형식적 사대를 유지하며, 독자적 외교 정책 지속.
  • 국경 안정: 압록강 지역에 방어 기지 건설.

금나라와의 외교는 고려의 생존 전략으로, 실리를 위한 사대 정책을 통해 국가 안정을 도모했다.


조선 시대 외교 정책과의 차이점 – 성리학적 질서와 사대 교린 정책

1. 대외 관계의 기초 철학 변화

  • 고려:
    • 유교·불교 혼합 외교.
    • 송·요·금과 실리적 외교 관계 유지.
  • 조선:
    • 성리학(朱子學) 기반의 사대교린 정책.
    • 명나라(사대)와 주변국(일본·여진) 교린 정책 수립.

2. 대외 정책의 방향성

  • 고려:
    •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유연한 외교 전략.
    • 강동 6주 확보, 원나라 부마국 관계생존 전략 중심.
  • 조선:
    • 명나라와의 사대 관계를 고정하고, 일본·여진과는 교린 관계.
    • 유교적 명분을 중시하며 자주적 외교보다는 명과의 관계 안정을 우선.

3. 군사적 대응 방식

  • 고려: 거란, 여진, 몽골 등과의 전쟁 경험으로 강력한 군사력 유지.
  • 조선: 4군 6진 개척(세종), 대마도 정벌(이종무) 등을 통해 국방력 강화.

4. 외교적 대상 변화

  • 고려: 송·요·금·원·일본다자 외교 전략.
  • 조선: 명나라와 단일한 사대 관계 유지, **일본(통신사 파견), 여진(4군 6진 설치)**과 교류.

고려 대외 관계의 역사적 의의

  1. 문화적·기술적 발전
    • 송나라와의 교류활자 인쇄술, 천문학, 유교 경전 수입.
  2. 군사적 경험 축적
    • 요나라와의 전쟁(귀주대첩), 금나라와의 외교적 긴장, 몽골과의 전쟁 경험국방 전략 발전에 기여.
  3. 외교적 유연성
    • 동아시아의 강대국(송·요·금·원)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외교 전략 전환.
  4. 조선 외교 정책의 기반 형성
    • 고려의 대외 관계 경험은 조선의 사대교린 외교 체제로 계승.

📖 FAQ – 고려의 대외 관계와 외교 전략

1. 고려가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선진 문물(유교 경전, 불교 경전, 과학 기술)을 수용하고, 국제적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외교 관계를 맺었습니다.

2. 고려는 왜 요나라(거란)와 전쟁을 벌였나요?

요나라가 고려를 송나라와의 교류를 이유로 침입하였고, 국경 지역 확보와 국가 안보를 위해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3. 서희의 외교 담판의 성과는 무엇인가요?

거란과의 협상에서 강동 6주를 확보하여 전쟁 없이 국토를 확장한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4. 고려와 금나라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했나요?

초기에는 우호적 관계를 유지했으나, 금나라가 요나라를 멸망시키며 사대 요구를 하자 고려는 이를 수용하고 실리 외교로 전환했습니다.

5. 고려의 외교 정책에서 원나라(몽골)의 영향은 무엇이었나요?

고려는 원나라와 부마국 관계를 맺으며 내정 간섭을 받았고, 몽골식 복식·이름·제도를 도입해야 했습니다.

6. 고려와 일본의 관계는 어떠했나요?

무역과 문화 교류를 시도했지만, 왜구(해적)의 잦은 침입으로 **국방적 대응(대마도 정벌, 화약 무기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7. 고려와 조선의 외교 정책은 어떤 점이 달랐나요?

고려는 송·요·금·원·일본 등 다양한 국가와 외교를 펼쳤지만, 조선은 명나라에 사대하고 일본·여진과 교린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621

 

고려의 문화 융합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 고려의 역사적 특징

고려는 918년 태조 왕건이 건국한 이후 475년 동안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다양한 문화적 융합을 이룬 국가였다. 불교와 유교 문화가 공존하며 사회적 가치와 제도를 형성했고, 아랍·송나라·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