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려는 918년 건국 이후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외교를 국가 생존과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송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원나라(몽골)와는 생존을 위한 외교 관계를 구축했으며, 일본과는 해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류를 도모했다. 고려 후기에는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외교 정책을 전환하며, 조선 건국(1392년)의 외교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고려의 송나라 사신 파견 목적, 고려-원나라 외교 관계와 사신 교류, 고려의 일본 외교와 해적 문제, 고려 후기 외교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고려의 외교 정책과 사신 파견의 특징을 살펴본다.

고려의 송나라 사신 파견 목적 – 문화 교류와 국제적 위상 강화
1. 송나라와의 외교 관계 성립 배경
- 고려 건국(918년) 후 송나라는 당나라 멸망 이후 동아시아의 중심국으로 부상.
- 고려는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국제적 인정을 받고 선진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려 했다.
주요 역사적 사건:
- 서희(徐熙)의 외교 담판(993년): 거란의 침입 당시, 송나라와 고려의 우호 관계를 거론하며 강동 6주 확보.
- 현종(顯宗) 시기 송나라와 공식 외교 수립: 송과 외교 관계를 통해 거란(요나라)에 대항.
2. 송나라 사신 파견의 목적
- 문화 교류와 학술적 교류
- 유교 경전, 불교 경전, 의학서적 수입.
- 고려 문인들이 송나라를 방문하여 성리학, 과학기술, 인쇄술 습득.
- 국제적 위상 확보
- 송나라를 통해 고려를 중화 문화권으로 인정받아 동아시아 국제 사회에 정통성 확보.
- 경제적 교류
- 송나라와의 무역(교역 사신 파견)을 통해 비단, 도자기, 약재, 서적을 수입.
- 고려는 금, 은, 인삼, 자기, 종이 등을 수출.
3. 송나라 사신 교류의 성과
- 불교 문화 발전:
- 천태종(天台宗)과 화엄종(華嚴宗) 교류로 불교 교학 발전.
- 대각국사 의천은 송나라 불경을 들여와 대장경 편찬.
- 과학 기술 도입:
- 활자 인쇄술(청동 활자), 천문학 지식 도입.
- 국제적 외교 인지도 강화:
- 송나라 사신이 고려를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칭송.
고려-송 외교는 문화적·경제적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며 국제 사회에서 고려의 위상을 강화했다.
고려-원나라 외교 관계와 사신 교류 – 생존 전략과 정치적 변화
1. 몽골(원나라)과의 관계 형성 배경
- 13세기 초 몽골의 등장:
- 몽골 제국(칭기즈 칸)의 유라시아 정복 전쟁 속에서 고려는 전략적 요충지로 부각.
- 몽골의 고려 침입(1231~1259년):
- 총 7차례에 걸친 침략으로 개경 함락, 강화도 천도(1232년), 삼별초 항쟁(1273년)을 경험.
- 1259년: 고려 고종(高宗)이 몽골에 항복.
2. 사신 파견과 외교 전략
- 강화도 천도 후에도 사신 파견 지속:
- 몽골과 협상을 시도하며 전쟁 피해 최소화.
- 1259년: 고종이 몽골 쿠빌라이 칸에게 사신 파견 → 강화 체결.
- 1274년: 충렬왕이 쿠빌라이 칸의 딸(제국대장공주)과 혼인하여 고려가 원나라의 부마국(駙馬國)이 됨.
3. 원나라 사신 교류의 특징
- 정기적 사신 교환:
- 원나라 황실에 조공(朝貢) 사신 파견.
- 원나라 사신은 고려에 내정 간섭(정동행성 설치, 다루가치 파견).
- 문화적 영향:
- 몽골식 복식(복두, 좁은 소매 옷)과 음식(유밀과, 만두) 도입.
- 몽골어 어휘 일부 고려어에 혼합.
- 정치적 변화:
- 고려 왕실은 원나라 황실 공주와 혼인하며, 왕의 즉위는 원 황실의 승인을 받아야 했음.
- 기황후(奇皇后, 충숙왕의 딸)가 원나라 황후로 등극하며 고려의 원나라 의존 심화.
4. 공민왕(恭愍王)의 대외 정책 전환
- 1351년 즉위 후 친원 정책 폐기.
- 원나라 사신 왕래 제한.
- 정동행성 폐지(1356년) 및 몽골풍 의복·이름 사용 금지.
고려-원 외교 관계는 몽골의 지배하에 정치적 종속을 경험했으나, 공민왕 시기 독립 외교 노선을 추구하며 변화를 도모했다.
고려의 일본 외교와 해적 문제 – 평화와 안보를 위한 교류
1. 고려-일본 외교 관계의 형성
- 고려 초: 송나라를 통한 간접 교류가 중심.
- 11세기: 일본에 고려 사신 파견 → 무역과 외교 관계 수립.
외교 목적:
- 경제적 교류: 비단, 서적, 도자기 교역.
- 해적(왜구) 문제 해결: 일본 해적(왜구)이 남해안 지역을 습격하자, 일본 정부에 대응 요청.
2. 해적(왜구) 문제와 대응 전략
- 13~14세기:
- 왜구의 해안 습격 증가(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지역 피해 심각).
- 고려의 대응:
- 해군력 강화: 최무선이 화약(화통도감 창설, 1377년) 개발.
- 창왕(1380년) 황산대첩(이성계의 승리)으로 왜구 세력 약화.
3. 일본과의 외교 사신 파견
- 1367년: 고려 사신이 일본 남북조 정부에 파견되어 왜구 근절 요청.
- 1375년: 일본 사신이 고려를 방문하며, 외교적 교류 재개.
고려는 일본과의 외교를 통해 해적 문제 해결을 시도했으나, 왜구 활동은 14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다.
고려 후기 외교 정책 변화 –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대응
1. 몽골 제국의 쇠퇴와 명나라의 등장
- 1368년: 명나라(明) 건국(주원장) → 원나라 북방으로 후퇴(북원).
- 공민왕은 친원 정책 폐기 후, 명나라와 외교 관계 수립.
- 1388년: 요동 정벌 시도(위화도 회군으로 실패) → 명나라와 갈등.
2. 외교 정책의 자주성 회복
- 공민왕 시기(1351~1374):
- 몽골 다루가치 철수 요구.
- 정동행성 폐지 및 독자적 외교 정책 추진.
- 우왕 시기(1374~1388):
- 일본과 외교 교류 활성화 시도.
- 1389년 창왕 시기:
- 이성계의 해적 소탕 작전(대마도 정벌)으로 국제적 안보 강화.
3. 조선 건국(1392년)과 외교 정책 전환
- 명나라와의 사대 관계(조공 관계)를 기반으로 안정적 외교 체계 구축.
- 일본과는 해적 문제 해결을 위해 교류 지속.
- 원나라와의 관계는 단절.
고려 후기 외교 정책은 명나라의 부상, 일본 해적 문제, 내부 정치 변화에 맞춰 신속한 대응 전략을 전개했다.
고려의 외교 정책의 역사적 의의
- 문화적·경제적 발전
- 송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유교 경전, 불교 경전, 과학기술 도입.
- 해상 무역 활성화로 국제적 교류 확대.
- 생존을 위한 외교 전략
- 몽골과의 외교(혼혈 정책, 부마국 체제)를 통해 국가 생존을 유지.
- 동아시아 외교 주체로서의 역할
- 일본, 송나라, 원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통해 국제 질서에 적극 참여.
- 조선 외교의 기반 형성
- 명나라와의 교류 경험이 조선 초 사대 외교 체계로 계승.
📖 FAQ – 고려의 사신 파견과 외교 정책
1. 고려는 왜 송나라에 사신을 파견했나요?
송나라의 선진 문물(유학, 과학기술, 불교 경전)을 도입하고, 국제적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였습니다.
2. 고려와 원나라의 외교 관계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몽골의 고려 침략(1231~1259) 이후 강화 체결로 시작되었으며, 1274년 충렬왕과 쿠빌라이 칸의 공주 혼인을 계기로 부마국 관계가 되었습니다.
3. 고려는 일본과 어떤 외교 관계를 맺었나요?
일본과 해상 무역 및 외교 교류를 진행했으며, 왜구(해적) 문제 해결을 위해 사신 파견을 지속했습니다.
4. 고려 후기 외교 정책은 왜 변화했나요?
**몽골 제국의 쇠퇴(1368년)**와 명나라의 부상, 왜구의 빈번한 침략 등으로 외교 정책의 전환이 필요했습니다.
5. 고려 사신이 송나라에서 가져온 대표적인 문물은 무엇인가요?
유교 경전, 불교 경전, 활자 인쇄술, 의약학 지식, 도자기 기술 등을 들여와 국내 문화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6. 고려가 원나라의 부마국이 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1259년 고려 고종이 몽골과 강화한 후, 1274년 충렬왕이 원나라 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국 관계가 성립되었습니다.
7. 고려가 일본 해적(왜구)을 어떻게 대응했나요?
**최무선의 화통도감 설립(1377년)**으로 화약 무기를 개발하고, **1380년 황산대첩(이성계 승리)**으로 해적 세력을 크게 약화시켰습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620
고려의 대외 관계 – 송·요·금과의 외교와 갈등의 역사적 흐름
고려는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외교와 군사 전략을 유연하게 구사하며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도모했다. 송나라(중국)와는 문화 교류와 무역을 통해 선진 문물을 수용했고, 요나라(거란)와는
ekqwlckdrh.tistory.com
'한국고려사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문화 융합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 고려의 역사적 특징 (0) | 2025.02.16 |
---|---|
고려의 대외 관계 – 송·요·금과의 외교와 갈등의 역사적 흐름 (0) | 2025.02.16 |
고려의 법률 제도 – 형벌과 재판의 구조와 사회적 의미 (0) | 2025.02.16 |
고려의 왕실 문화 – 고려 왕들의 생활과 권력 구조 (0) | 2025.02.16 |
고려의 혼혈 정책 – 원나라와의 혼혈 정책과 그 사회적 변화 (0) | 2025.02.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선 후기
- 조선신분제
- 조선 정치사
- 이순신
- 이성계
- 민주화 운동
- 연산군
- 조선 중기
- 조선 정치
- 세종대왕
- 현역가왕2
- 병자호란
- 삼전도의굴욕
- 훈구파
- 트로트
- 미스터트롯3
- 조선수군
- 조광조
- 임진왜란
- 민주주의
- 조선군사
- 사림파
- 성리학
- 병인양요
- 정유재란
- 조선 건국
- 속오군
- 한국 현대사
- 조선 역사
- 흥선대원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