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상지식창고

‘데스리(手摺)’의 정확한 의미, 유래와 표준어 표현 정리

전문가팀 2025. 6. 28. 06:45
반응형

‘데스리(手摺, てすり)’는 주로 건축 현장에서 쓰이던 일본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우리말로는 난간 또는 손잡이에 해당합니다. 특히 계단, 발코니, 대중교통, 화장실 등에서 안전 확보나 보조를 위한 손잡이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가리키며, 순화된 표준어로 바꾸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데스리의 원어와 의미

‘데스리(手摺)’는 일본어로 ‘손으로 미는 곳’, 즉 손잡이나 손을 대고 이동을 돕는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한자로는 手(손 수)와 摺(문지를 접)을 쓰며, 손으로 미는 동작과 관련이 깊습니다.

일본어 건축용어사전에서는 ‘보조 난간, 추락 방지용 울타리, 안전 난간’을 통칭하는 용어로 소개됩니다.

 

특히 ‘난간의 손으로 잡는 부분’을 의미하는 용례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버스나 지하철 내 손잡이 봉도 ‘데스리’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일상 회화보다는 전문 분야에서 사용 빈도가 높습니다.

 

2. 데스리의 건축적 사용 예시

"계단에 데스리 설치 안 하면 사고 위험이 커져요." → "계단에 난간 설치 안 하면 사고 위험이 커져요."

"장애인 화장실엔 데스리가 양쪽에 있어야 돼." → "장애인 화장실엔 손잡이가 양쪽에 있어야 돼."

"발코니 데스리는 일정 높이 이상 설치해야 해." → "발코니 난간은 규정 높이 이상 설치해야 해."

 

"엘리베이터 앞 계단에도 데스리 시공 필수입니다." → "엘리베이터 앞 계단에도 안전 난간 시공이 필요합니다."

"에스컬레이터 데스리 교체 예정입니다." →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교체 예정입니다."

"현장마다 데스리 위치가 다르니까 도면 확인하세요." → "현장마다 난간 위치가 다르니 도면 확인하세요."

 

3. 데스리의 표준어와 순화어

‘데스리’는 국립국어원에서 일본어 잔재로 지적되어 사용을 지양하고 있습니다.

순화된 표현으로는 ‘난간’, ‘손잡이’, ‘안전 손잡이’, ‘보조 손잡이’ 등이 있습니다.

계단이나 발코니의 경우 ‘난간’이 가장 일반적 표준어입니다.

 

화장실이나 장애인 시설의 손잡이는 ‘보조 손잡이’로 구분해 표기합니다.

대중교통 내부 손잡이는 ‘지지봉’ 또는 ‘손잡이봉’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설계도면, 건축보고서 등에서는 모두 순화어 사용이 권장됩니다.

 

4. 현장 용어로서의 데스리 혼용

일부 건축 현장에서는 여전히 ‘데스리’라는 용어가 구어적으로 사용됩니다.

현장 직원들 간의 구두 전달이나 실무 대화에서는 익숙하게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공공기관 문서, 공사 보고서 등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본어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기관 차원에서 용어 순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현장 실무자에게도 용어 개선 교육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문 분야일수록 바른 언어 사용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5. 데스리 대체 표기 및 적용 방식

도면이나 시방서에서는 ‘난간’, ‘보조 손잡이’ 등 표준 용어로 표기해야 합니다.

CAD나 BIM 설계 시에도 ‘Handrail’, ‘Support Rail’ 등 표기 통일이 요구됩니다.

국가기술자격 시험이나 건축 관련 공문서에서도 일본어 용어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데스리’는 구어적 혼용 용어로만 한정하고, 문서화 시 표준어로 반드시 전환해야 합니다.

건축법상 안전기준 조항에도 ‘난간’, ‘손잡이’로 정확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표기 일관성과 교육용 자료 정비를 위해 용어 통일이 필수적입니다.

 

6. 데스리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 (FAQ)

Q: 데스리는 어떤 구조물을 가리키는 말인가요?

A: 계단, 발코니, 화장실 등에서 사용되는 난간이나 손잡이를 뜻합니다.

 

Q: 데스리는 일본어인가요?

A: 네. 일본어 ‘手摺(てすり)’에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Q: 데스리의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A: 상황에 따라 ‘난간’, ‘손잡이’, ‘보조 손잡이’로 구분해 사용합니다.

 

Q: 데스리라는 표현을 써도 되나요?

A: 현장 구어로는 사용되지만, 문서나 공식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Q: 데스리는 어디서 유래했나요?

A: 일본 건축 용어로, 손으로 잡는 구조물 전반을 의미합니다.

 

Q: 건축 설계 시 데스리라고 써도 되나요?

A: 아니요. 반드시 ‘난간’, ‘보조 손잡이’ 등 표준 용어로 표기해야 합니다.

 

Q: 데스리와 난간은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나요?

A: 데스리는 일본식 표현이며, 난간은 그 순화된 우리말입니다.

 

Q: 공공기관이나 학교에서는 데스리를 써도 되나요?

A: 바른 언어 사용을 위해 표준어 사용이 필수입니다.

 

 

 

 

용천혈 위치와 효능 완벽 정리

📋 목차용천혈 위치 알아보기용천혈의 유래와 역사기 순환과 에너지 개선스트레스 해소와 정신 안정면역력 강화 효과일상에서의 활용법FAQ용천혈은 발바닥 중앙에 위치한 대표적인 중요 혈자

ekqwlckdrh.tistory.com

 

 

새치와 흰머리 차이와 관리법 총정리

📋 목차새치와 흰머리의 정의와 차이원인: 유전, 스트레스, 영양소젊은 나이의 새치, 왜 생길까?새치/흰머리 관리와 예방법새치 염색 vs 흰머리 염색 차이점모발 건강에 좋은 성분 🌿FAQ새치와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