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고려사스토리

나전칠기 – 고려 시대의 정교한 공예와 세계적 명성

전문가팀 2025. 2. 14. 09:50
반응형

나전칠기(螺鈿漆器)는 자개(전복·소라 껍질)를 사용해 장식하고, 옻칠을 한 공예품으로, 고려 시대에 세계적 명성을 얻은 대표적 전통 공예 기술입니다. 고려의 나전칠기는 정교한 세공 기술, 세련된 디자인, 화려한 색감으로 동아시아는 물론 중동·유럽 지역에도 수출되어 고려 공예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습니다.

특히 고려 나전칠기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불교 의식용 공예품, 귀족들의 생활 용품, 외교적 사절단의 선물로도 사용되었으며, 입사(象嵌) 기법의 정교함과 예술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다수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나전칠기의 제작 기법과 재료, 고려 나전칠기의 디자인과 특징, 수출과 외국의 반응, 그리고 조선 시대 나전칠기와의 비교를 통해 고려 나전칠기의 독창성과 역사적 의의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나전칠기의 제작 기법과 재료: 세밀한 기술과 장인의 혼

1. 나전칠기의 정의와 어원

  • 나전(螺鈿): 자개(소라·전복·조개 껍질)의 빛나는 부분을 오려 붙이는 기법
  • 칠기(漆器): 옻칠을 통해 표면을 단단하고 광택 있게 마감한 공예품
  • 나전칠기자개의 영롱한 빛과 옻칠의 깊이감이 어우러진 공예품을 의미합니다.

고려 나전칠기는 동양의 미학과 기술력이 결합된 대표적 작품으로, 송나라·일본·이슬람권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2. 제작 기법: 단계별 공정

나전칠기의 제작 과정은 여러 단계의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며, 장인의 숙련된 기술과 인내가 필요했습니다.

  1. 목재 가공
    • 소나무, 오동나무, 자작나무 등을 공예품 형태로 가공
    • 함, 상자, 경상, 필통, 거울 상자, 불구(佛具) 제작
  2. 옻칠(칠하기)
    • 목재 표면에 옻칠을 반복하여 방수·내구성 강화
    • 칠을 여러 번 반복해 광택을 극대화
  3. 자개(螺鈿) 가공
    • 전복·소라·진주조개 껍질을 얇게 가공
    • 문양(연꽃·국화·봉황·학)으로 잘라 붙이는 작업
  4. 입사(象嵌) 작업
    • 자개를 일정한 패턴에 맞춰 정교하게 삽입
    • 부드러운 곡선과 섬세한 직선을 표현
  5. 마감(광택 처리)
    • 표면을 다시 옻칠하고 건조
    • 반짝이는 자개와 어우러진 깊은 광택 완성

이러한 과정은 최소 수개월에서 1년 이상 소요될 만큼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력을 요구했습니다.


3. 주요 재료와 특성

  • 자개(전복·소라): 영롱한 빛깔문양의 중심 장식
  • 옻(漆): 습기·벌레·부식 방지를 위해 반복 도포
  • 목재(소나무·오동나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여 생활 공예품 제작에 적합

고려 나전칠기의 디자인과 특징: 화려함 속의 정교함

1. 디자인의 특징

  • 자연 친화적 문양: 연꽃, 국화, 모란, 학, 봉황, 운무(구름) 등 자연을 소재로 함
  • 불교적 상징성: 연꽃(깨달음), 봉황(불교적 길상), 십이지신상 등 종교적 의미 부여
  • 대칭적 구성: 좌우 대칭과 반복적 패턴으로 시각적 안정감을 추구

2. 대표적인 나전칠기 문양

  •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 연꽃과 넝쿨의 조화생명력·순환 의미
  • 운룡문(雲龍文): 구름과 용이 어우러져 왕권·신성함 상징
  • 봉황문(鳳凰文): 봉황을 통해 길상·행운 기원

3. 나전칠기의 대표적 작품

  • 나전칠기 경함(經函): 불교 경전을 보관하기 위해 제작된 공예품
  • 나전칠기 화장함: 귀족 여성들의 화장 도구 보관
  • 나전칠기 침통(針筒): 바느질 도구 보관

4. 색감과 질감의 특징

자개의 무지갯빛(虹色光)과 짙은 옻칠의 검은 바탕(黑漆地)강렬한 대비를 이루어 시각적 매력을 극대화했습니다.

  • 자개의 빛깔 변화: 광원과 시선에 따라 다양한 색채로 변환
  • 옻칠의 깊이감: 검은 바탕이 자개의 빛을 더욱 돋보이게 함

수출과 외국의 반응: 고려 나전칠기의 세계적 인기

1. 송나라(중국): 고급 공예품으로 인기

  • 고려 나전칠기는 송나라 상류층에서 사치품으로 각광받았습니다.
  • 송나라 사신들이 고려 방문 시 나전칠기를 선물로 요청할 정도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2. 일본(일본국): 문화·기술 전파

  • 고려의 나전칠기 제작 기술은 일본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에 전수되어 일본 칠기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 나전칠기 경함, 필통, 화장함은 일본 귀족 가문에서 귀중히 보관되었습니다.

3. 아랍(이슬람 상인):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전파

  • 아랍 상인들이 고려 나전칠기를 수입하여 이슬람 세계에 소개하였습니다.
  • 이슬람 지역에서는 한국의 고급 공예품을 '고려칠기'로 부르며 감탄했습니다.

4. 유럽(중세 기독교 국가)

  • 몽골(원나라)과의 교류를 통해 유럽에 고려 나전칠기가 전해졌으며, 유럽 귀족층은 이국적 공예품에 매료되었습니다.

고려 나전칠기는 동서양의 문화 교류를 상징하며, 국제 무역과 문화적 소통의 상징적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조선 시대 나전칠기와의 비교: 계승과 발전

1. 기술적 계승

조선은 고려의 나전칠기 기술을 그대로 계승하였지만, 유교적 가치관에 맞춰 장식성을 줄이고 실용성을 강화하였습니다.


2. 문양의 변화  

구분 고려 나전칠기 조선 나전칠기
문양 불교·자연 문양(연꽃, 봉황) 소박한 문양(매화, 학, 문자 문양)
색감 자개의 화려함 극대화 단순하고 절제된 색감
용도 귀족·불교 공예품 위주 일상 용품(필통, 문갑, 상자) 위주

 

조선 후기에는 나전칠기 기술이 일상 생활로 확산되며, 장롱·문갑·서안 등 다양한 가구로 제작되었습니다.


3. 사회적 활용 차이

  • 고려: 귀족·불교 중심의 사치품 및 불교 의식용 기물 제작
  • 조선: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될 정도로 대중화

결론: 고려 나전칠기가 남긴 문화적 유산

고려 나전칠기정교한 기술과 예술적 감각이 결합된 세계적 공예품으로, 당시 동아시아를 넘어 중동·유럽까지 전파된 고려의 문화적 자산이었습니다.

  • 나전칠기의 입사 기법은 고려 금속 공예 기술과 연결되어 당시 예술적 기술 수준을 입증합니다.
  • 불교 공예품에서 생활용품까지 다양한 제작 분야에서 고려 장인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수출과 교류를 통해 고려의 국가 브랜드(고려청자·나전칠기)가 국제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적 문화 교류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늘날 고려 나전칠기는 세계 각지의 박물관에서 소중히 보존되고 있으며, 한국 전통 공예의 독창성과 장인 정신을 알리는 귀중한 역사적 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FAQ: 고려의 나전칠기에 관한 자주 묻는 질문 7가지

Q1. 고려 나전칠기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고려 나전칠기는 자개의 화려한 빛깔과 옻칠의 깊은 광택이 조화를 이룬 공예품입니다. 연꽃, 봉황, 운룡 등 자연과 불교적 문양을 정교하게 새긴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Q2. 나전칠기는 어떻게 제작되었나요?
나전칠기는 목재 가공 → 옻칠 → 자개 가공 → 입사 작업 → 마감의 단계로 제작됩니다. 자개를 가공해 문양을 새기고, 옻칠을 반복하여 광택과 내구성을 강화하였습니다.

 

Q3. 고려 나전칠기는 어디에 주로 사용되었나요?
불교 사찰의 경함(經函)과 불구(佛具), 귀족들의 화장함·필통·침통종교적·생활적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습니다.

 

Q4. 고려 나전칠기는 어떤 재료로 제작되었나요?
전복·소라·진주조개의 자개, 소나무·오동나무 등의 목재, 옻(漆)을 사용했습니다. 옻칠로 표면을 단단히 마감해 보존성과 광택을 높였습니다.

 

Q5. 고려 나전칠기는 해외에서 어떤 평가를 받았나요?
송나라·일본·아랍에서 고려 나전칠기의 정교한 입사 기법을 극찬했습니다. 아랍 상인들은 이를 '고려칠기'라 부르며 중동에 소개했고, 일본은 가마쿠라 시대 공예 기술에 고려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Q6. 고려와 조선의 나전칠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고려 나전칠기는 불교적 문양과 화려함이 강조된 반면, 조선 나전칠기는 유교적 검소함을 반영하여 단순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변화하였습니다.

 

Q7. 고려 나전칠기의 대표적인 작품은 무엇인가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나전국화당초문 경함'이 대표적입니다. 국화·당초문이 정교하게 새겨진 불교 경전 보관함으로, 고려 나전칠기의 기술적·예술적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586

 

고려의 금속 공예 – 세계적인 금속 기술을 보유하다

고려의 금속 공예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만큼 뛰어난 기술력과 예술적 가치를 자랑합니다.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은 국가적 배경을 바탕으로, 불교용 공예품 제작에 탁월한 기술을 발휘했으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