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고려사스토리

공민왕의 개혁 정치 – 원나라 세력을 몰아내다

전문가팀 2025. 2. 13. 10:20
반응형

고려 후기, 원나라의 간섭이 극심해지고 권문세족의 부패가 만연한 가운데, 이를 타개하려는 강력한 개혁이 시도되었다. 바로 공민왕(恭愍王)의 개혁 정치였다. 공민왕은 고려 왕실을 장악하고 있던 친원파 세력을 숙청하고, 원나라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고려 왕권을 확립하려 했다. 이를 위해 신돈을 중용하여 개혁을 추진하고, 권문세족의 부당한 특권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그의 개혁은 강한 저항에 부딪혔다. 특히, 기득권을 가진 권문세족들은 개혁을 방해하며 공민왕과 대립했다. 결국 공민왕의 개혁은 한계를 드러내며 실패로 돌아갔고, 그는 암살당하면서 개혁도 좌절되었다. 그러나 그의 시도는 고려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후 조선 건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번 글에서는 공민왕의 친원파 숙청 과정, 신돈을 활용한 개혁 정책, 권문세족의 반발과 개혁 실패, 그리고 공민왕 암살과 개혁의 한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공민왕의 친원파 숙청

공민왕이 즉위하던 1351년, 고려는 여전히 원나라의 간섭을 강하게 받고 있었다. 당시 원나라는 고려 왕을 임명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려의 정치·외교·군사 정책에도 깊이 개입했다. 고려 내부에서는 원나라의 후원을 받는 친원파 세력이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며, 왕권을 약화시키고 있었다.

이에 공민왕은 즉위 후 원나라의 영향력을 줄이고 독립적인 고려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 강력한 개혁을 시작했다. 그 첫 번째 조치가 바로 친원파 숙청이었다.

 

  1. 기철(奇轍) 숙청
    • 고려의 대표적인 친원파 인물인 기철은 원나라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 공민왕은 즉위 후 기철과 그 일족을 제거하며 친원 세력을 약화시켰다.
    • 이는 고려가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는 첫 번째 신호탄이었다.
  2. 친원 정책 폐기
    • 원나라식 제도를 폐지하고, 고려 고유의 체제를 되살리려 했다.
    • 원나라의 연호 사용을 중단하고, 관제(官制)와 복식(服飾) 등을 고려식으로 복원했다.
    •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3. 요동 정벌 추진
    • 공민왕은 고려의 영토를 확장하고자 요동 정벌을 계획했지만, 이는 후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좌절되었다.

이처럼 공민왕은 즉위 직후 강력한 개혁을 추진하며 원나라의 잔재를 제거하려 했다. 하지만 고려 내부에는 여전히 권문세족이라는 또 다른 거대한 적이 존재했다.


신돈을 활용한 개혁 정책

공민왕은 개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신돈(辛旽)이라는 승려를 중용했다. 신돈은 불교계 출신으로, 당시 기득권 세력과 거리가 멀었으며, 개혁을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인물이었다.

공민왕과 신돈이 함께 추진한 개혁 정책은 다음과 같다.

 

  1.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 운영
    • 권문세족이 불법적으로 차지한 토지를 되찾아 국가 재정으로 편입하고, 농민들에게 돌려주려 했다.
    • 이는 권문세족의 기득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정책으로, 이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
  2. 신진 관료 등용
    • 기존의 권문세족 대신,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여 고려의 정치 구조를 개혁하려 했다.
    • 이는 조선 건국의 핵심 세력이 될 신진사대부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3. 불교 개혁과 사회 개혁
    • 신돈은 승려 출신이었기에 불교 개혁도 추진했다.
    • 불교계의 부패를 척결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신돈의 개혁은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가 발생했다. 그는 점차 권력을 남용하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권문세족들은 더욱 강력하게 반발하며 개혁을 저지하려 했다.


권문세족의 반발과 개혁 실패

공민왕의 개혁 정책은 권문세족의 반발을 불러왔다. 고려 후기의 권문세족은 오랫동안 국가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고, 공민왕의 개혁이 이들의 특권을 위협했기 때문이다.

  1. 전민변정도감에 대한 저항
    • 권문세족들은 자신들의 토지를 빼앗기는 것을 막기 위해 공민왕과 신돈을 적극적으로 견제했다.
  2. 공민왕의 정치적 고립
    • 권문세족들은 공민왕을 왕권을 남용하는 폭군으로 몰아갔다.
    • 점차 공민왕은 정치적으로 고립되었고, 개혁의 동력을 상실했다.
  3. 신돈 제거
    • 권문세족들은 신돈이 전횡을 일삼고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공민왕에게 압력을 가했다.
    • 결국 1371년, 공민왕은 신돈을 숙청하면서 개혁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이처럼 권문세족의 저항은 공민왕의 개혁을 무력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결국 고려 왕실은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공민왕 암살과 개혁의 한계

공민왕의 개혁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고려 왕실 내부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1. 공민왕의 독재화
    • 개혁이 좌절된 후, 공민왕은 점차 독단적인 정치를 펼치며 신하들과의 갈등이 심해졌다.
  2. 1388년, 암살당함
    • 공민왕은 측근들에게 암살당하며 생을 마감했다.
    • 이는 고려 왕권이 결정적으로 붕괴하는 계기가 되었다.
  3. 개혁의 한계
    • 공민왕의 개혁은 친원파 숙청과 권문세족 견제라는 의미 있는 시도였지만, 기존 기득권층의 반발과 정치적 기반 부족으로 인해 완전히 성공하지 못했다.
    • 하지만 그의 개혁은 이후 조선 건국의 중요한 초석이 되었다.

결론

공민왕의 개혁 정치는 고려를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게 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중요한 시도였다. 그는 친원파를 숙청하고, 신돈을 통해 개혁을 추진했으며, 권문세족을 견제하며 고려를 다시 세우려 했다.

그러나 권문세족의 반발, 정치적 기반 부족, 그리고 내부적 갈등으로 인해 개혁은 좌절되었고, 결국 그는 암살당하며 개혁도 끝나고 말았다.

 

비록 그의 개혁이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그의 시도는 조선 건국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공민왕의 개혁 정신은 고려 말 혼란 속에서도 빛났으며, 이후 새로운 국가로 이어지는 중요한 역사적 과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FAQ 

Q1. 공민왕은 왜 개혁을 추진했나요?
A1. 공민왕은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고려의 독립성을 회복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또한, 권문세족의 부패를 척결하고 국정을 바로잡으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Q2. 공민왕의 친원파 숙청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A2. 공민왕은 즉위 후 친원 세력을 대표하는 기철과 그 일족을 숙청했습니다. 또한, 원나라식 관제와 복식을 폐지하고 고려 고유의 체제를 복원하는 등 원나라의 영향을 줄이려 했습니다.

 

Q3. 신돈은 왜 공민왕의 개혁에 중요한 인물이었나요?
A3. 신돈은 기존 권문세족과 무관한 승려 출신으로, 공민왕의 개혁을 강력히 지원했습니다. 그는 전민변정도감을 운영하며 권문세족이 불법적으로 차지한 토지를 정리하고, 신진 관료를 등용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Q4. 공민왕의 개혁이 권문세족의 반발을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A4. 공민왕의 개혁은 권문세족의 기득권을 약화시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강한 저항을 받았습니다. 특히, 전민변정도감 운영으로 토지를 빼앗기게 된 권문세족들은 공민왕을 견제하고 개혁을 방해했습니다.

 

Q5. 공민왕 개혁의 한계는 무엇이었나요?
A5. 공민왕의 개혁은 왕권 강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권문세족의 반발과 신돈의 전횡으로 인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또한, 개혁을 뒷받침할 강력한 정치적 기반이 부족하여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Q6. 공민왕이 암살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6. 공민왕은 개혁이 실패한 후 점점 독단적으로 변하였고, 측근과의 갈등이 심해졌습니다. 결국 1374년, 신하들에 의해 암살당하며 그의 개혁도 끝나고 말았습니다.

 

Q7. 공민왕의 개혁이 고려와 조선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A7. 공민왕의 개혁은 실패했지만, 신진 사대부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조선 건국 과정에서 그의 개혁 정신이 계승되었으며, 성리학적 개혁 정치가 자리 잡는 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572

 

노국대장공주 – 공민왕의 원나라 출신 왕비

고려 후기, 원나라의 간섭이 극심하던 시기에 한 여인이 고려 왕실로 시집왔다. 그녀는 바로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로, 공민왕의 왕비였다. 원나라 황실 출신이었던 그녀는 단순한 외국 출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