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조선사스토리

1866~1871년 척화비 건립과 조선의 쇄국 정책, 역사적 의의

전문가팀 2025. 1. 20. 02:14
반응형

척화비(斥和碑)는 19세기 후반 조선이 서양 열강의 침략적 압박에 대응하여 서양 세력 배척 정책을 표명하기 위해 건립한 석비입니다. 척화비는 “서양과의 화친은 나라를 망하게 한다”는 문구를 새기며 조선의 강경한 쇄국 의지를 대내외에 드러냈습니다. 1866년부터 1871년까지 건립된 척화비는 조선 전역에 설치되었으나, 근대화 과정에서 철거되며 그 상징성 또한 역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척화비 건립의 배경, 척화비 내용과 의미, 전국적 설치와 철거, 그리고 척화비가 상징하는 조선의 쇄국 정책을 중심으로 척화비의 역사적 맥락과 의의를 살펴보겠습니다.

 


척화비 건립 배경: 서양 세력 배척 정책

척화비는 조선이 서양 열강의 강압적인 침략에 대응하여 쇄국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상징적 조치로 건립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조선이 서양의 군사적 압력과 외교적 요구에 직면했던 시기였습니다.

  • 서양 세력의 침략과 충돌:
    • 19세기 중반 이후, 서양 열강들은 조선에 문호 개방을 강요하며 여러 차례 군사적 침략을 감행했습니다.
    • 1866년 프랑스의 병인양요와 1871년 미국의 신미양요는 서양 세력이 조선의 문호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려 했던 대표적 사건입니다.
    • 조선은 이들 서양 열강의 요구를 강경히 거부하며, 군사적으로 저항하는 동시에 쇄국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 흥선대원군의 쇄국 정책:
    • 흥선대원군은 서양 문물의 유입이 조선의 전통적 사회 질서를 위협한다고 판단하며 서양 세력과의 단절을 강조했습니다.
    • 그는 조선 내부의 보수적인 유교 질서를 강화하며, 서양과의 모든 외교적 접촉을 단절하려 했습니다.
  • 척화비 건립의 결정: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며 흥선대원군은 서양 세력과의 화친을 배척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따라 척화비를 건립했습니다.

척화비는 서양 세력을 배척하려는 조선의 강경한 외교적 태도를 상징하며, 당시 조선의 쇄국 정책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척화비 내용: “서양과의 화친은 나라를 망하게 한다”

척화비에는 조선의 외교적 입장을 명확히 드러내는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 문구는 당시 조선의 대외 정책과 쇄국 의지를 잘 보여줍니다.

  • 척화비의 문구:
    • 척화비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 “洋夷侵犯非戰則和 主和賣國”
        (양이(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니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게 되는데, 화친을 주장하면 나라를 파는 것이다.)
      • “洌水縣民竪此碑 咸豊丙寅”
        (염려하는 마음으로 이 비를 세운다. 함풍(咸豊) 병인년(1866년).)
    • 이 문구는 서양 세력과의 화친이 곧 국가의 파멸로 이어질 것이라는 경고와 함께, 조선이 반드시 외세에 맞서 싸워야 한다는 강한 결의를 나타냅니다.
  • 문구의 상징성:
    • 척화비의 문구는 단순히 외교적 선언을 넘어 조선 백성들에게 서양 세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습니다.
    • 척화비는 단순한 석비가 아닌, 조선의 국가적 정체성과 쇄국 정책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문구는 조선이 외세의 압력에 저항하는 강경한 태도를 보여주며, 당시 조선 사회가 서양 세력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척화비의 전국적 설치와 철거

척화비는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전국 각지에 설치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선의 쇄국 정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척화비는 철거되며 그 상징성 또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 척화비의 전국적 설치:
    • 척화비는 조선 전역의 주요 관문과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도로변, 시장 근처 등에 설치되었습니다.
    • 특히, 수도 한양을 비롯해 강화도, 평양, 개성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세워졌습니다.
    • 이는 척화비가 조선 백성들에게 서양 세력의 위협과 화친의 위험성을 상기시키기 위한 의도로 건립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척화비의 철거:
    • 척화비는 조선 말기 개화파가 주도한 개혁 정책과 함께 철거되었습니다.
    • 특히,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이 권좌에서 물러나면서 척화비는 점차 철거되었으며, 이는 조선이 개항과 개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결과였습니다.
    • 오늘날 일부 척화비는 복원되어 박물관이나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습니다.

척화비의 전국적 설치는 쇄국 의지의 표출이었으나, 철거는 조선이 근대화를 수용하며 새로운 외교적 길로 나아가게 되었음을 상징합니다.


척화비가 상징하는 조선의 쇄국 정책

척화비는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이 주도한 쇄국 정책의 상징으로, 조선이 서양 세력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명확히 보여줍니다.

  • 쇄국 정책의 배경:
    • 조선은 19세기 후반 서양 열강과 일본의 침략적 압박 속에서 전통적 유교 질서를 유지하며, 외세의 개입을 철저히 차단하려 했습니다.
    • 흥선대원군은 이를 위해 쇄국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며 척화비 건립과 같은 상징적 조치를 취했습니다.
  • 쇄국 정책의 의의:
    • 쇄국 정책은 서양 세력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조선을 지키기 위한 방어적 대응책이었으나, 결과적으로 조선을 국제 사회에서 고립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 이는 조선의 근대화와 개방이 늦어지게 된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 쇄국 정책의 한계:
    • 쇄국 정책은 단기적으로 조선의 전통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나, 장기적으로는 조선을 국제적 변화에 뒤처지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척화비는 조선의 쇄국 정책을 상징하며, 전통과 외세의 갈등 속에서 조선이 선택했던 대응 방식을 잘 보여줍니다.


결론: 척화비와 조선 후기의 교훈

척화비는 19세기 후반 조선이 서양 세력의 압박에 대응하며 선택한 쇄국 정책의 상징물로, 당시 조선의 강경한 외교적 태도와 서양 문물에 대한 경계를 대변합니다.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건립된 척화비는 조선 전역에 설치되어 국가적 정체성과 외교 정책의 방향을 분명히 했으나, 근대화와 개방의 흐름 속에서 철거되며 그 역할을 다하게 되었습니다.

척화비의 사례는 국가가 외부 압력에 대응할 때 전통과 변화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합니다. 쇄국 정책은 조선을 단기적으로 보호했으나, 국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게 만든 요인이기도 했습니다. 척화비는 조선이 외교적·정치적 위기 속에서 선택한 결정을 상징하며, 현대에도 많은 교훈을 제공합니다.


FAQ: 척화비와 조선의 쇄국 정책

Q1: 척화비는 언제 건립되었나요?
A1: 척화비는 1866년 병인양요 이후부터 1871년 신미양요를 전후로 건립되었습니다.

 

Q2: 척화비의 문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2: 척화비에는 “서양과의 화친은 나라를 망하게 한다”는 내용을 담아, 서양 세력과의 화친을 강력히 배척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Q3: 척화비는 어디에 설치되었나요?
A3: 척화비는 한양, 강화도, 평양 등 전국 주요 관문과 사람들이 왕래하는 곳에 설치되었습니다.

 

Q4: 척화비는 왜 철거되었나요?
A4: 척화비는 조선의 근대화와 개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개방적 외교 정책에 따라 철거되었습니다.

 

Q5: 척화비는 누가 건립했나요?
A5: 척화비는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건립되었습니다.

 

Q6: 척화비는 무엇을 상징하나요?
A6: 척화비는 조선 후기 쇄국 정책과 외세 배척 의지를 상징합니다.

 

Q7: 척화비 건립의 역사적 맥락은 무엇인가요?
A7: 척화비는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 서양 열강의 침략 위협 속에서 조선이 쇄국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건립되었습니다.

 

Q8: 척화비가 현대에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요?
A8: 척화비는 외교적 위기 속에서 국가의 대응 방향과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변화에 적응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보여줍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315

 

1865년 흥선대원군의 삼군부(三軍府) 설립과 비변사 폐지

삼군부(三軍府)는 1865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설립된 군사 기구로, 조선 후기 군사 체제 개편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삼군부는 비변사의 폐지 이후 군사 업무를 총괄하는 기구로 기능하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