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골(원나라)과 강화를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자,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삼별초(三別抄)는 독자적인 저항을 결의했다. 삼별초는 원래 고려 무신정권의 군사 조직이었으나, 몽골의 지배를 거부하며 고려의 독립을 끝까지 지키려 했던 마지막 항전군이었다. 강화도에서 독립 정권을 수립했던 삼별초는 몽골-고려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진도로 거점을 옮겨 최후의 저항을 이어갔다. 삼별초는 진도를 전략적 요충지로 삼아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며, 약 1년 동안 몽골과 고려 정부의 연합군에 맞서 싸웠다. 하지만 결국 1271년 몽골-고려 연합군의 총공세로 인해 진도가 함락되고, 삼별초를 이끌던 배중손(裵仲孫)이 전사하면서 진도 항전은 막을 내리게 된다. 본 글에서는 삼별초의 진도로 이동 과정, 진도에서..
한국고려사스토리
2025. 2. 10. 01:56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삼전도의굴욕
- 사림파
- 트로트
- 조선신분제
- 조선 후기
- 임진왜란
- 조선군사
- 조선수군
- 속오군
- 성리학
- 이성계
- 미스터트롯3
- 조선 건국
- 훈구파
- 병자호란
- 민주주의
- 조선 역사
- 이순신
- 정유재란
- 민주화 운동
- 조선 정치사
- 현역가왕2
- 한국 현대사
- 병인양요
- 조선 중기
- 조광조
- 흥선대원군
- 세종대왕
- 조선 정치
- 연산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