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평창(常平倉)은 고려 시대 빈민 구제와 곡물 가격 안정을 위해 설치된 국가 기관으로, 사회적 안정과 경제적 균형을 도모했던 중요한 제도적 장치였습니다. 당시 고려는 농업을 중심으로 경제를 유지했기에, 흉년·기근·자연재해로 인한 식량 부족이 발생하면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곤 했습니다. 상평창은 이러한 식량 위기를 예방하고, 빈민을 구제하며, 곡물 시장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고려 후기에는 지방을 포함한 전국적 운영 체계로 확대되어 사회적 안전망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조선 시대에도 이 제도를 계승·발전시켜 사회적 복지 정책의 모범 사례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평창의 설립 목적과 운영 방식, 흉년과 기근 대비 기능, 상평창의 개경·서경·지방 운영 방식 차이, 그리고 조선 시대 상평창의 변화..
한국고려사스토리
2025. 2. 14. 09:32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정유재란
- 병인양요
- 민주주의
- 조선신분제
- 조광조
- 훈구파
- 임진왜란
- 성리학
- 조선군사
- 조선 정치사
- 속오군
- 흥선대원군
- 미스터트롯3
- 병자호란
- 세종대왕
- 사림파
- 현역가왕2
- 한국 현대사
- 조선 역사
- 이순신
- 민주화 운동
- 조선 후기
- 연산군
- 조선 정치
- 삼전도의굴욕
- 조선 건국
- 조선 중기
- 이성계
- 트로트
- 조선수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