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18lH3/btsMdrCVbb3/gg72UtLct5Ikpy8RgMS6jK/img.png)
고려 후기, 원나라의 간섭과 무신정권의 몰락 속에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지키려 했던 승려이자 역사학자가 있었다. 그는 바로 일연(一然, 1206~1289)이다. 일연은 불교를 통해 역사와 민족의 정체성을 설명하고자 했으며, 고려 시대를 살았지만, 신라를 중심으로 한 삼국 시대의 역사와 전설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려 했다. 그가 남긴 가장 중요한 저서는 《삼국유사(三國遺事)》로, 삼국의 역사뿐만 아니라 고려 초기까지의 불교 전승, 설화, 민간 신앙 등을 기록하여 역사와 문화가 결합된 독창적인 사서를 남겼다. 특히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비교되며, 공식적인 역사서가 담지 못한 신화와 전설, 민간의 이야기를 포함하면서 독특한 역사관을 보여준다. 이번 글에서는 일연의 생애와 사상, 삼국유사의 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b0I16/btsMbLCNKSs/OKdFG737tUW2r7NUCCkVvk/img.png)
충렬왕(忠烈王, 1236~1308)은 고려 제25대 국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원 간섭기의 첫 번째 고려 왕이다. 그는 즉위와 동시에 원나라(몽골)와의 부마국(駙馬國) 관계를 맺으며 고려의 자주권이 크게 약화되었고, 이후 고려 왕실은 원나라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게 된다. 충렬왕 재위 기간은 고려 왕권이 급격히 약화되던 시기로, 친원(親元)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고려의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원나라의 영향을 받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원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 고려 사회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 시기이기도 하다. 본 글에서는 충렬왕의 즉위 과정, 원나라와의 부마국 관계, 왕권 약화와 친원 정책, 충렬왕 시대 고려 사회 변화까지 시대적 흐름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Pzd5/btsMbJStBjl/uQrSgWlkjei0i5u5Kw3CUk/img.png)
홍다구(洪茶丘, ?~?)는 고려 출신으로 원나라(몽골)의 무장이 되어 활약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원나라 군대에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며 고려와 일본 원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1274년과 1281년 두 차례에 걸친 원나라의 일본 원정(원정, 元寇)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고려군을 동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홍다구는 원나라에서 출세하며 몽골 제국의 군사 전략가로 인정받았지만, 고려 역사에서 그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는 고려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몽골의 침략을 돕고, 고려인을 일본 원정에 강제 동원하는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홍다구의 고려 출신 배경, 원나라에서의 군사적 활약, 일본 원정과 고려군 동원, 그리고 홍다구의 평가와 유산까지 시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AXKo/btsMc1Ldipw/LFBm1ZDKy4i0ck1olT0D01/img.png)
고려 후기, 삼별초(三別抄)는 몽골의 지배에 끝까지 저항한 고려의 마지막 독립군이었다.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골과 강화를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자, 삼별초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독립 정권을 수립하여 끝까지 싸우기로 결의했다. 강화도에서 시작된 삼별초의 저항은 진도로 이어졌고, 1271년 진도가 함락된 후 김통정(金通精)을 중심으로 제주도로 이동하였다. 삼별초는 제주도를 최후의 거점으로 삼고, 몽골-고려 연합군에 맞서 마지막까지 항전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몽골군의 대대적인 공격과 병력 차이로 인해 결국 1273년 제주도에서 삼별초는 전멸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본 글에서는 삼별초의 제주도로 이동, 제주에서의 방어전 전개, 몽골군의 제주도 진압, 삼별초 항전의 최후까지 시대적 흐름을 따라 상세히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qPk4/btsMa5BPWWy/sj71pOUo9DxYUlvyF79sJ1/img.png)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골(원나라)과 강화를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자,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삼별초(三別抄)는 독자적인 저항을 결의했다. 삼별초는 원래 고려 무신정권의 군사 조직이었으나, 몽골의 지배를 거부하며 고려의 독립을 끝까지 지키려 했던 마지막 항전군이었다. 강화도에서 독립 정권을 수립했던 삼별초는 몽골-고려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진도로 거점을 옮겨 최후의 저항을 이어갔다. 삼별초는 진도를 전략적 요충지로 삼아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며, 약 1년 동안 몽골과 고려 정부의 연합군에 맞서 싸웠다. 하지만 결국 1271년 몽골-고려 연합군의 총공세로 인해 진도가 함락되고, 삼별초를 이끌던 배중손(裵仲孫)이 전사하면서 진도 항전은 막을 내리게 된다. 본 글에서는 삼별초의 진도로 이동 과정, 진도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6har/btsMdpkMjSr/fKaLjZtmiZaE1SmbO0PcZk/img.png)
고려 후기, 몽골(원나라)의 침략은 국가의 존망을 위협하는 심각한 위기였다. 13세기 초부터 시작된 몽골의 침공은 고려 전역을 초토화하였으며, 이에 고려 조정은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게 된다. 1232년(고종 19년), 최우(崔瑀)는 몽골군의 지속적인 침입을 피하고 장기적인 항전을 준비하기 위해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겼다. 강화도는 해상 방어에 유리한 천혜의 요새였으며, 고려 조정은 이곳에서 39년 동안 몽골과 대치하며 항전을 이어갔다. 하지만 강화 천도는 단순한 방어 전략이 아니라, 무신정권이 왕권을 견제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작용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지속적인 압박과 고려 내부의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결국 1270년 고려 조정은 강화도를 포기하고 개경..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Yt6m/btsMccfD33w/cfY4FTkEXTQ5U9mD4NqDF0/img.png)
고려 후기, 몽골(원나라)의 침략으로 고려 조정은 점점 무력해졌고, 결국 1270년 원나라와 강화를 맺으며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고려의 마지막 항전군 삼별초(三別抄)는 배중손(裵仲孫)의 지도 아래 끝까지 몽골과 고려 조정에 맞서 싸우는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다. 배중손은 삼별초를 이끌고 강화도에서 반란을 일으켜 독립 정권을 세웠으며, 이후 진도와 제주도를 거치며 최후까지 저항하였다. 그의 항쟁은 단순한 반란이 아닌, 외세에 맞선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사례로 평가되며, 고려의 자주성과 주권을 지키려는 마지막 투쟁으로 기록되었다. 본 글에서는 배중손의 출신과 성장, 삼별초 지휘 과정, 강화도와 진도에서의 전투, 제주도 항전과 최후까지 시대적 흐름을 따라 자세히 살펴보겠다. 배중손의 출신과 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qTIz/btsMbERd24T/9JkcFSlsKk6RpWIxzq9mj0/img.png)
고려 후기, 원나라(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고려는 국운이 기울었고, 결국 1270년 고려 조정이 원나라와 강화를 맺으며 항전을 포기하게 된다. 하지만 고려 내부에서는 이에 반발하는 세력이 등장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가 끝까지 고려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저항군으로서 항전을 지속하였다. 삼별초는 원래 고려 무신정권이 운영하던 군사 조직이었으나, 고려 조정이 원나라에 항복하자 이를 인정하지 않고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며 끝까지 싸운 군대였다. 이들은 강화도를 거점으로 저항을 시작하여 진도와 제주도로 거점을 옮기며 최후까지 원나라와 고려 정부에 맞서 싸웠다. 본 글에서는 삼별초의 기원과 조직, 강화도 항전, 진도 항전과 제주도 이동, 그리고 삼별초 항전의 역사적 의의까지 시대적 흐름을 따라 상세히 살펴보겠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1ZdOq/btsMcI6b8oc/hkVEfxzu7vkWb3N7kMbxQ0/img.png)
고려 무신정권 시대(1170~1270)는 문신 중심의 정치 체제를 무너뜨리고, 무신들이 국가 운영을 장악한 시기였다. 그러나 무신정변 이후에도 정권은 불안정했고, 권력자들이 자주 교체되는 혼란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충헌(崔忠獻)이 무신정권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면서 권력을 안정화시켰고, 그의 아들 최우(崔瑀, ?~1249)는 이를 더욱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특히 최우는 정방(政房)을 설치하여 모든 관직 임명 권한을 독점하면서, 무신정권의 핵심 인사 기구로 활용하였다. 정방은 고려 후기에 이르기까지 무신정권 유지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이후 조선 시대의 승정원과 비교되기도 한다. 본 글에서는 정방의 설립 배경, 무신정권의 인사 독점, 정방을 통한 권력 유지, 그리고 정방 폐지와 조선의 승..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림파
- 고려왕권약화
- 조선 정치사
- 이순신
- 조선 건국
- 세종대왕
- 민주주의
- 민주화 운동
- 연산군
- 병인양요
- 훈구파
- 조선신분제
- 조선 역사
- 현역가왕2
- 조광조
- 이성계
- 속오군
- 한국 현대사
- 조선수군
- 조선 후기
- 흥선대원군
- 성리학
- 병자호란
- 임진왜란
- 조선 중기
- 조선 정치
- 정유재란
- 조선군사
- 삼전도의굴욕
- 트로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