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고려사스토리

고려의 복식 – 귀족과 평민의 의복 차이와 역사적 의미

전문가팀 2025. 2. 15. 23:47
반응형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은 사회적 배경 속에서 의복 문화가 다채롭게 발전했다. 왕실과 귀족층은 화려하고 세련된 복식을 통해 사회적 지위와 권위를 과시했으며, 평민과 농민은 실용적이고 소박한 복장을 착용했다. 또한, **불교 의식복(法衣)**은 종교적 상징성과 장엄함을 강조하며 불교 행사와 사회적 영향력을 드러냈다. 고려 복식은 송나라, 원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국제적 양식을 수용하며 발전했으며, 조선의 의복 문화로 상당 부분 계승되었다.

 

이 글에서는 고려 왕실과 귀족 복식의 특징, 불교 의식복과 승려들의 옷차림, 평민과 농민의 복식 문화, 고려 복식이 조선으로 이어진 양상을 중심으로 고려 복식 문화의 특징과 역사적 흐름을 살펴본다.

 


고려 왕실과 귀족 복식의 특징 – 신분을 나타내는 시각적 언어

고려 시대에는 신분과 계층에 따라 의복의 색상, 재료, 디자인이 엄격히 구분되었다. 왕실과 귀족층사회적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화려하고 세련된 복식을 착용했다.

1. 왕실 복식 – 왕권과 위엄의 상징

왕실 복식국왕의 권위와 국가적 위상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 국왕의 익선관(翼善冠):
    • 높은 모자(익선관)를 착용하여 왕의 위엄을 강조.
    • 익선관 위에는 용무늬(龍文) 장식을 하여 왕권의 상징성을 드러냈다.
  • 황색 곤룡포(袞龍袍):
    • 황색은 황제국의 색으로, 고려 왕실의 독자적 왕권을 강조.
    • 가슴과 등에는 오조룡(五爪龍) 문양이 수놓아져 왕실의 위엄을 표현했다.
  • 면류관(冕旒冠):
    • 제례 시 국왕이 착용한 의관으로, 앞뒤로 늘어진 12개의 구슬 장식(旒)이 특징.
    • 구슬 개수는 하늘의 별과 조화를 이룬다유교적 상징성을 담았다.

왕비와 왕족 여성은 자적색(紫赤色) 단령(團領)과 금사(金絲)로 수놓은 문양이 장식된 원삼(圓衫)을 착용했다.


2. 귀족 복식 – 권력과 부를 과시하는 화려함

귀족 복식신분과 권력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색상·재질·장식의 화려함이 두드러졌다.

  • 남성 귀족:
    • 관복(官服): 품계에 따라 색상 구분.
      • 1~3품: 자색(紫色), 4~5품: 홍색(紅色), 6~7품: 청색(靑色), 8~9품: 녹색(綠色).
    • 평상복: 백색 또는 옥색 단령(團領)을 착용.
    • 두건: 복두(幅頭)를 착용하여 문무 관리의 위엄을 상징.
  • 여성 귀족:
    • 원삼(圓衫): 왕실 여성처럼 비단에 금·은 실 자수.
    • 적의(翟衣): 예식 시 착용하며 꽃과 봉황 무늬를 수놓아 화려함을 강조.
    • 머리 장식: 화관(花冠)·족두리와 비녀(簪)를 착용하여 부의 상징으로 삼았다.

귀족들의 복식 문화고려 중기 송나라 문화 수입후기 원나라의 복식 영향으로 국제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


불교 의식복과 승려들의 옷차림 – 종교적 권위와 상징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은 국가로, 불교 의식복과 승려들의 복장사회적·종교적 권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도구였다.

1. 불교 의식복(法衣) – 종교적 상징성과 장엄함

  • 가사(袈裟):
    • 불교 승려가 입는 겉옷으로, 수행자의 겸손과 청정을 상징.
    • 왕실이나 귀족이 시주한 비단으로 제작하여 금실로 연꽃, 범자(梵字) 문양을 수놓았다.
  • 장삼(長衫):
    • 가사 안에 입는 긴 옷으로, 불교 의식에서 착용.
    • 백색 또는 회색으로, 세속을 벗어난 청정한 삶을 상징.
  • 불교 의례용 관:
    • 대각국사 의천중국 천태종의 의식복 체계를 도입하여 고려 불교의 의식복을 정비했다.
    • 홍색 가사와 금실 자수 장식왕실 후원 사찰의 고승만 착용이 가능했다.

2. 승려들의 일상복 – 실용성과 단정함

  • 평상복(라사): 회색·갈색 삼베로 제작되어 소박하고 검소했다.
  • 승려의 머리 복장: 삭발(剃髮)을 원칙으로 하며, 흰 두건(白巾)을 착용하기도 했다.
  • 불교 의식 시 착용하는 장신구:
    • 염주(念珠): 수행과 기도를 위한 필수 소품.
    • 법관(法冠): 대규모 법회에서 고승이 착용하여 종교적 권위를 시각화했다.

3. 불교 의식복의 사회적 역할

  • 불교 행사(연등회·팔관회)에서 의식복이 장엄한 분위기를 조성했다.
  • 왕실과 귀족이 불교를 후원하며, 사찰 의식복을 화려하게 제작하여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 강화에 기여했다.

평민과 농민의 복식 문화 – 실용성과 소박함

고려의 평민과 농민생업에 적합한 실용적 의복을 착용했다. 평민 복식은 계절과 노동 환경에 따라 재질과 형태가 달랐다.

1. 평민 남성의 복식

  • 상하의 분리형 복식: 저고리(短衣)와 바지(袴)를 착용.
  • 재료: 삼베, 모시, 목면(면화)를 사용.
  • 머리 장식: 패랭이(草笠)와 흰 두건(白巾)을 사용.

노동복 특징:

  • 소매와 하의 폭이 넓어 활동성 강화.
  • 겨울철에는 무명 솜옷(綿衣)을 입어 방한.

2. 평민 여성의 복식

  • 저고리와 치마(長裙): 저고리는 짧고 치마는 길어 활동성 강화.
  • 재료: 삼베·모시·목면 사용.
  • 장신구: 간단한 은비녀와 머릿수건(頭巾)을 착용.

특징:

  • 겉옷에 화려한 자수는 제한되었지만, 잔잔한 꽃무늬를 허용.
  • 노동 시 바지 형태의 고쟁이(褲)를 착용.

3. 농민과 하층민의 복식

  • 갈색 또는 회색 삼베옷이 기본.
  • 비 오는 날에는 갈대나 짚으로 만든 우비(雨衣)를 착용.
  • 신발은 짚신(草鞋)과 나막신(木鞋)을 주로 사용.

평민 복식의 사회적 의미:

  • 신분 질서를 시각적으로 드러냄.
  • 실용성과 내구성을 중시한 노동복 발달.

고려 복식이 조선으로 이어진 양상 – 전통의 계승과 성리학적 변화

조선은 성리학(性理學)을 국가 이념으로 삼으며, 고려의 복식 문화일부 계승하되, 성리학적 가치관에 맞게 변화시켰다.


1. 왕실 복식의 계승과 변화

  • 고려의 익선관과 곤룡포조선 왕실 복식으로 계승되었다.
  • 조선은 유교적 질서를 반영하여 색상 규정을 강화했다.
    • 왕은 황색, 왕세자는 자적색, 문무백관은 청색으로 규정.

2. 불교 의식복의 축소

  • 조선 초기 불교 억압 정책으로 불교 의식복 사용이 제한됨.
  • 불교 의식복의 화려함사찰 내부 행사로 제한되었다.

3. 평민 복식의 변화

  • 고려의 평민 복식이 조선 민속 복식의 기초가 되었다.
  • 목면(면화)의 보급으로 평민 의복의 품질과 편의성 향상.
  • 조선 후기에는 여성의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고, 치마의 폭이 넓어지는 변화가 나타났다.

4. 의복 규제(금령령) 강화

  • 조선은 신분 질서를 강화하기 위해 의복 규제를 강화했다.
  • 고려 시기 평민도 착용하던 일부 화려한 장신구조선 시대에는 금지되었다.

고려 복식의 역사적 의의

  1. 신분 질서의 시각적 체계화
    • 의복을 통해 신분과 사회적 위상을 명확히 구분.
  2. 불교 문화와 복식의 결합
    • 불교 의식복을 통해 종교적 상징성과 사회적 영향력 강화.
  3. 국제적 복식 교류
    • 송·원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국제적 복식 문화를 수용.

고려 복식 문화사회적 신분 질서와 종교적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로서, 조선 복식 문화의 기초를 형성했다.


📖 FAQ – 고려 복식 문화와 사회적 특징

1. 고려 왕실 복식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요?

황색 곤룡포와 익선관을 통해 왕실의 권위와 독립적 왕권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2. 고려 귀족 복식에서 색상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관료의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신분 체계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질서를 강화하기 위함이었습니다.

3. 고려 불교 의식복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가사에 금·은실로 불교 문양을 수놓아 종교적 권위를 나타냈으며, 불교 행사에서 범패와 함께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4. 고려 평민의 의복은 어떤 특징이 있었나요?

삼베, 모시, 면화로 제작되었으며, 실용성을 중시하여 저고리와 바지, 치마를 기본 복식으로 착용했습니다.

5. 고려 복식 문화에 외국의 영향이 있었나요?

송나라의 아악과 함께 복식 문화도 전래되었으며, **몽골(원나라)과의 교류를 통해 몽골식 복식(소매 폭이 좁아지고 바지통이 넓어짐)**이 도입되었습니다.

6. 고려 복식에서 여성의 장신구는 어떤 것이 있었나요?

화관, 족두리, 비녀, 노리개 등이 있었으며, 귀족 여성은 금·은으로 제작된 장신구를 선호했습니다.

7. 고려 복식이 조선에 어떻게 계승되었나요?

왕실 복식(익선관, 곤룡포)과 평민 복식(저고리, 치마, 바지)은 그대로 계승되었으나, 불교 의식복의 사용은 축소되고, 성리학적 의복 규제가 강화되었습니다.

 

 

https://ekqwlckdrh.tistory.com/615

 

고려의 식생활 – 고려 사람들이 즐겨 먹던 음식과 시대적 특징

고려 시대는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만큼 불교적 가치관이 식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 시기였다. 채식 문화가 발달했으며, 왕실과 귀족은 화려하고 다양한 음식을 즐겼고, 평민과 농민은 실용적

ekqwlckdrh.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